카테고리 없음
한국고대학회 2007년 국제학술대회('오르도스 청동기문화와 한국의 청동기문화')
kwjs
2007. 5. 7. 17:30
2007년 춘계 한국고대학회 국제학술대회
-민족문화 원형 발굴 및 정체성 정립을 위한 학술대회 Ⅱ-
주 제 : 오르도스 청동기문화와 한국의 청동기문화
일 시 : 2007년 5월 15일(화) ∼ 16일(수)
장 소 :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
주 최 : 한국고대학회
후 원 : 문화관광부
발표논문 : 10편 (기조강연 포함)
학술대회 일정
2007년 5월 15일 (화)
09 : 00~09 : 30 등록
개회 사회 정운용 (고려대 고고미술사학과)
09 : 40 개회사 최광식 (한국고대학회 회장)
축 사 박양우 (문화관광부 차관)
진행 사회 박희현 (서울시립대 국사학과)
09 : 50 기조강연 북방 청동기문화와 한국 고대문화와의 관계
강연 : 김정배 (전 고려대 한국사학과)
10 : 20∼10 : 30 휴식
10 : 30 제1주제 쌍방문화 청동기의 형식학 · 연대학적 연구
발표 : 짜오빈푸 (길림대 고고학과) 토론 : 하문식 (세종대 역사학과)
11 : 10 제2주제 연해주의 청동기시대
발표 : 브로댠스끼 (극동대 고고학과) 토론 : 이종선 (경기도박물관)
11 : 50∼13 : 30 중식
13 : 30 제3주제 요령지역 청동기문화와 북방 청동기문화 간의 상호 작용과 교류
발표 : 오강원 (동북아역사재단) 토론 : 이성주 (강릉대 사학과)
14 : 10 제4주제 요동지역 청동기문화와 한반도 청동기문화의 지역성과 상호 관계
발표 : 송호정 (한국교원대 역사교육과)
토론 : 복기대 (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)
14 : 50∼15 : 00 휴식
15 : 00 제5주제 연해주의 초기철기문화와 한반도-끄로우노브까 문화를 중심으로-
발표 : 정석배 (한국전통문화학교 문화유적학과)
토론 : 에렉젠 (몽골 아카데미)
15 : 40 제6주제 오르도스 청동기문화와 북방 청동기문화
발표 : 타라 (내몽골 문물연구소) 토론 : 박상빈 (서울역사박물관)
16 : 20~16 : 40 휴식
토론 사회 : 최광식 (고려대 한국사학과)
16 : 40~18 : 00 종합토론
18 : 00 만찬
2007년 5월 16일 (수)
진행 사회 : 양은경 (부산대 고고학과)
09 : 30 제7주제 비교문화사의 입장에서 본 한국과 몽골의 민속
발표 : 장장식 (국립민속박물관) 토론 : 전경욱 (고려대 국어교육과)
10 : 10 제8주제 오르도스 암각화와 한국의 암각화
발표 : 장석호 (동북아역사재단) 토론 : 장명수 (낙동문화연구소)
10 : 50~11 : 10 휴식
11 : 10 제9주제 오르도스의 ‘새머리 장식 사슴뿔(Bird-Headed Antler Tine)’ 모티프의 계보와 동점 -평양 석암리 219호분 <은제타출괴수문행엽>의 제작지 문제-
발표 : 이송란 (문화재청) 토론 : 최성은 (덕성여대 미술사학과)
11 : 50~12 : 00 휴식
토론 사회 : 박희현 (서울시립대 국사학과)
12 : 00~13 : 00 종합토론
13 : 00 폐회
학회 연락처
회장 최광식 02-3290-1433, 011-9070-5860, kukh@korea.ac.kr
총무 정운용 041-860-1263, 011-727-1913, jwyong@korea.ac.kr
간사 박수정 02-3290-2037, 010-6384-7130, khistory97@korea.ac.kr
-민족문화 원형 발굴 및 정체성 정립을 위한 학술대회 Ⅱ-
주 제 : 오르도스 청동기문화와 한국의 청동기문화
일 시 : 2007년 5월 15일(화) ∼ 16일(수)
장 소 :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
주 최 : 한국고대학회
후 원 : 문화관광부
발표논문 : 10편 (기조강연 포함)
학술대회 일정
2007년 5월 15일 (화)
09 : 00~09 : 30 등록
개회 사회 정운용 (고려대 고고미술사학과)
09 : 40 개회사 최광식 (한국고대학회 회장)
축 사 박양우 (문화관광부 차관)
진행 사회 박희현 (서울시립대 국사학과)
09 : 50 기조강연 북방 청동기문화와 한국 고대문화와의 관계
강연 : 김정배 (전 고려대 한국사학과)
10 : 20∼10 : 30 휴식
10 : 30 제1주제 쌍방문화 청동기의 형식학 · 연대학적 연구
발표 : 짜오빈푸 (길림대 고고학과) 토론 : 하문식 (세종대 역사학과)
11 : 10 제2주제 연해주의 청동기시대
발표 : 브로댠스끼 (극동대 고고학과) 토론 : 이종선 (경기도박물관)
11 : 50∼13 : 30 중식
13 : 30 제3주제 요령지역 청동기문화와 북방 청동기문화 간의 상호 작용과 교류
발표 : 오강원 (동북아역사재단) 토론 : 이성주 (강릉대 사학과)
14 : 10 제4주제 요동지역 청동기문화와 한반도 청동기문화의 지역성과 상호 관계
발표 : 송호정 (한국교원대 역사교육과)
토론 : 복기대 (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)
14 : 50∼15 : 00 휴식
15 : 00 제5주제 연해주의 초기철기문화와 한반도-끄로우노브까 문화를 중심으로-
발표 : 정석배 (한국전통문화학교 문화유적학과)
토론 : 에렉젠 (몽골 아카데미)
15 : 40 제6주제 오르도스 청동기문화와 북방 청동기문화
발표 : 타라 (내몽골 문물연구소) 토론 : 박상빈 (서울역사박물관)
16 : 20~16 : 40 휴식
토론 사회 : 최광식 (고려대 한국사학과)
16 : 40~18 : 00 종합토론
18 : 00 만찬
2007년 5월 16일 (수)
진행 사회 : 양은경 (부산대 고고학과)
09 : 30 제7주제 비교문화사의 입장에서 본 한국과 몽골의 민속
발표 : 장장식 (국립민속박물관) 토론 : 전경욱 (고려대 국어교육과)
10 : 10 제8주제 오르도스 암각화와 한국의 암각화
발표 : 장석호 (동북아역사재단) 토론 : 장명수 (낙동문화연구소)
10 : 50~11 : 10 휴식
11 : 10 제9주제 오르도스의 ‘새머리 장식 사슴뿔(Bird-Headed Antler Tine)’ 모티프의 계보와 동점 -평양 석암리 219호분 <은제타출괴수문행엽>의 제작지 문제-
발표 : 이송란 (문화재청) 토론 : 최성은 (덕성여대 미술사학과)
11 : 50~12 : 00 휴식
토론 사회 : 박희현 (서울시립대 국사학과)
12 : 00~13 : 00 종합토론
13 : 00 폐회
학회 연락처
회장 최광식 02-3290-1433, 011-9070-5860, kukh@korea.ac.kr
총무 정운용 041-860-1263, 011-727-1913, jwyong@korea.ac.kr
간사 박수정 02-3290-2037, 010-6384-7130, khistory97@korea.ac.k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