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9:30-10:00
개회사 : 김승옥(한국상고사학회장)
환영사 : 이인숙(한성백제박물관장)
1부 주제 발표(10:00-11:50)
1. 청동기~철기시대 동북아시아 제 지역의 물질문화와 상호 작용권의 형성과 변형, 오강원(한국학중앙연구원)
2. 초기철기시대 극동지역 고고학 자료와 종족연구, 홍형우(강릉원주대학교)
3. 상주문명의 확산과 자타 인식, 심재훈(단국대학교)
4. 진.한시대의 이민족 인식과 변별체계, 윤재석(경북대학교)
점심 식사(11:50-13:20)
2부 주제 발표(13:20-15:10)
5. 한국 고대 주민집단의 종족성에 관한 인식의 전개와 그 특징, 김창석(강원대학교)
6. 삼국시대의 종족과 계통의식, 김재홍(국민대학교)
7. 신 제도기술의 확산과 동아시아 제 지역의 토기문화 재편, 정인성(영남대학교)
8. 물질문화, 집단의 영역, 그리고 종족 정체성, 이성주(경북대학교)
휴식 및 장내 정리(15:10-15:20)
종합토론(15:20-17:40)
토론자: 민후기(연세대학교), 박대재(고려대학교), 오영찬(이화여자대학교), 정석배(전통문화대학교)
폐회사 및 총회(17:40-18:00)